S&P500 PER 분석과 평균 회귀 시나리오
1. Magnificent 7 제외 시 S&P500 PER
2025년 4월 18일 기준으로, Magnificent 7(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을 제외한 S&P500의 PER은 약 17.5배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Magnificent 7의 고PER이 지수 전체 PER을 끌어올린 것을 감안할 때, 시장의 실질적인 밸류에이션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는 수치입니다.
기업명 | 현재 PER | 10년 평균 PER |
---|---|---|
Alphabet (GOOGL) | 23.3 | 22.5 |
Meta Platforms (META) | 26.3 | 22.1 |
Apple (AAPL) | 33.8 | 29.1 |
Microsoft (MSFT) | 35.0 | 35.2 |
Amazon (AMZN) | 40.0 | 38.0 |
Nvidia (NVDA) | 63.0 | 47.0 |
Tesla (TSLA) | 118.9 | 111.6 |
평균 PER | 48.6 | 43.8 |
2. S&P500 평균 PER 비교
항목 | 값 |
---|---|
현재 S&P500 지수 | 5282 |
현재 PER | 21.1 |
12개월 선행 EPS | 250 |
5년 평균 PER | 21.0 |
10년 평균 PER | 19.0 |
전체 평균 PER | 16.5 |
3. 평균 PER 회귀 시 예상 지수
2025년 4월 기준으로 S&P500의 EPS가 현재 수준(250) 또는 중간 수준 리세션 발생 시(200)으로 변동할 경우, 평균 PER로 회귀 시 다음과 같은 예상 지수값이 도출됩니다:
PER 기준 | EPS = 250 | EPS = 200 (리세션 가정) |
---|---|---|
5년 평균 (21.0배) | 250 × 21.0 = 5250 | 200 × 21.0 = 4200 |
10년 평균 (19.0배) | 250 × 19.0 = 4750 | 200 × 19.0 = 3800 |
전체 평균 (16.5배) | 250 × 16.5 = 4125 | 200 × 16.5 = 3300 |
4. PER이란 무엇인가?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은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으로 간주되며, 반대로 높을수록 고평가로 인식됩니다.
구분 | 설명 | 특징 |
---|---|---|
Forward PER | 향후 12개월 예상 실적(EPS) 기준으로 계산된 주가수익비율 |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며, 애널리스트들의 이익 전망을 반영한 수치 |
Trailing PER | 직전 12개월의 실제 실적(EPS) 기준으로 계산된 PER | 과거 실적 기반으로, 보수적인 평가 시에 주로 사용됨 |
대부분의 금융 포털(Bloomberg, FactSet, Refinitiv 등)에서는 S&P500 PER을 Forward 기준으로 제공함 |
PER 분석 시 주의할 점
- PER은 경기 변동성과 이익의 일시적 변화에 민감합니다.
- Forward PER(예상 이익 기준)과 Trailing PER(과거 실적 기준)을 구분해 해석해야 합니다.
- 업종마다 적정 PER 수준이 다르므로 상대적 비교가 중요합니다.
5. 평균 회귀 가능성은?
S&P500의 현재 PER이 역사적 평균보다 상당히 높은 21.1배 수준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기술주의 고평가 영향이 크며, 특히 금리 상승기나 실적 둔화 시 조정 압력이 클 수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PER은 평균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어, 향후 경기 사이클이 바뀌거나 금리가 상승할 경우 PER이 5년 또는 10년 평균 수준으로 돌아갈 확률은 중기적으로 60%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무역 환경이 악화되고 이로 인한 하락장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미 연준의 금리 정책과 경제 성장 둔화 징후도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의 달러 약세 정책과 중국과의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으며, 미란 보고서에서는 100년 만기 장기채권 발행과 미국 재정 건전성에 대한 경고도 제기되어 시장의 긴장감을 높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