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세장과 폭락장에서의 투자 전략
약세장의 정의
약세장(Bear Market)은 주식 시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요 지수가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시장은 경기 침체, 금리 인상, 지정학적 리스크, 금융 위기, 경제 정책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균회귀 관점에서 본 최근 약세장
최근 S&P 500 지수는 강한 상승세를 이어왔습니다. 특히 2010년대 이후 장기간 강세장이 지속되었으며, 2020년 팬데믹 이후의 유동성 공급과 경기 부양 정책으로 인해 주식 시장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강세장은 결국 평균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평균회귀(mean reversion) 이론에 따르면, 장기간 평균이상의 높은 상승이 지속되면 조정이 불가피합니다. 최근 약세장은 ( 트리거가 되는 또는 원인이라고 여겨지는 트럼프와 미국의 정책들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으며, 높은 금리와 긴축 정책이 겹치면서 투자자들은 차익 실현과 리스크 회피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시장의 자연스러운 순환 과정이며, 장기적으로는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S&P 500 마이너스 수익률
S&P 500 지수가 연간 수익률이 -20% 이상 하락했거나 또는 연속해서 하락한 경우, 마지막으로 최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한 경우도 포함한 표입니다.
연도 | 연간 하락률 | 최고점 대비 하락률 | 주요 원인 |
---|---|---|---|
1929년 | -11.91% | -44.67% | 대공황 시작 |
1930년 | -28.48% | -38.96% | 대공황 초기 |
1931년 | -47.07% | -55.00% | 대공황 심화 |
1973년 | -17.37% | -48.20% | 오일 쇼크와 경기 침체 |
1974년 | -29.72% | -32.00% | 오일 쇼크와 경기 침체 지속 |
1987년 | -3.52% | -33.51% | 블랙 먼데이(10월 대폭락) |
2000년 | -10.14% | -24.00% | 닷컴 버블 붕괴 시작 |
2001년 | -13.04% | -30.00% | 닷컴 버블 붕괴 및 9·11 테러 |
2002년 | -23.37% | -32.50% | 닷컴 버블 붕괴 여파 |
2008년 | -38.49% | -56.78% | 글로벌 금융위기 |
2020년 | +16.26% | -33.92% |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폭락(연수익률은 플러스) |
2022년 | -19.44% | -25.40% | 인플레이션 및 금리 인상 |
폭락장에서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주식 시장이 급락할 때 많은 투자자가 공포에 휩싸이지만, 올바른 전략을 따르면 장기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폭락장에서 투자자가 가져야 할 심리와 행동 7가지입니다.
전략 | 설명 |
---|---|
감정적 대응 피하기 | 공포심에 휩싸여 급하게 매도하지 않고 시장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합니다. |
현금 비중 유지 | 시장이 불안정할 때를 대비해 일정 비율의 현금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장기 투자 관점 유지 |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인 시각에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
우량주 집중 투자 |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폭락장에서도 유리합니다. |
분할 매수 전략 | 한 번에 모든 자금을 투자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분할 매수해야 합니다. |
배당주 및 방어주 투자 |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이나 경기 방어주에 투자하면 변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시장 흐름 분석 | 경제 뉴스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
효율적인 리밸런싱 전략
보글헤드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60% 주식과 40% 채권 포트폴리오는 시장 상황에 따라 비율 조정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이 급락하면 포트폴리오 내 주식 비중이 감소하고 채권 비중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이 20% 하락하면 주식 비중이 50% 이하로 낮아질 수 있으며, 이때 채권을 매도하고 주식 매수를 통해 주식 비중을 다시 60%로 맞추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반대로 강세장에서 주식이 급등하면 일부 주식을 매도하고 채권을 늘려 밸런스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글은 단순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투자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